퍼팅에서의 오버스핀은 장타보다 중요하다

골프코스에서 라운드 중 앞 팀에서 퍼팅의 어드레스(putting address)시간을 유난히 길게 끄는 골퍼가 있게 되면 뒤 팀에서는 조롱 섞인 어조로 다음과 같이 말한다.

"저 사람 뜸들이는 것을 보니 틀렸군."그런데 신통하게도 그 같은 예언들은 대게 적중, 펏을 실수로 끝내고 만다.

퍼팅은 어드레스를 포함, 어떤 형태의 샷이던 그 준비 시간이 길면 길수록 스윙리듬을 망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뜸들이는 시간이 길면, 흰 쌀밥도 누룽지로 변하듯 준비시간이 길어진 퍼팅이나 스윙의 자세도 리듬과 타이밍을 놓치기 마련이다. 그렇다고 황급히 서두르라는 것은 아니며 자신에게 주어진 시간과 주위의 흐름에 방해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조율해 나가야 한다.


어드레스의 인터발(interval)이 짧아야 하는 이유는 우선 근육경직을 예방하여 자연스럽고 리드미컬한 퍼팅을 유도하기 위함이다.

준비시간이 길어진다는 것은 너무 이론적으로 집착해 불안감이 생기는데다 입스(yips) 떨림 증세가 발생하여 지극히 짧은 거리의 펏을 놓치기도 한다. 따라서 이 같은 생각들은 어드레스이전에 정리하고 일단의 준비가 끝나면 즉각 스트로크(stroke)를 실행해야 몸의 경직을 예방할 수 있다.

경직된 상태에서의 퍼팅 스트로크는 볼에 방향성이 떨어지고 타면이 볼을 치는 순간 탑 스핀(topspin)걸리지 않아 매끄러운 구름이 없어진다.

게임(코스 공략)은 두뇌로 하지만 퍼팅은 음악의 선율과 같아 템포(tempo)는 바뀌어도 리듬이나 타이밍은 언제나 일정해야 한다. 때문에 짧은 거리의 퍼팅일지라도 볼에 탑 스핀(topspin)이 걸리도록 자세를 구축하고 이에 합당한 스윙폭으로 볼을 굴려야 한다.

볼에 부드러운 회전과 탑 스핀을 넣기 위해서는 왼쪽어깨가 약간 들리는 듯한 느낌으로 볼을 스트로크 해야 한다.

특히 볼에 탑 스핀이 걸리지 않아 방향이 좌, 우로 밀려나가는 구질의 대부분은 볼 위치가 잘못되어 있는 경우가 허다하다.

볼 위치가 오른발쪽에 치우칠수록 볼의 흐름 선이 없고 구르다 컵(hole)의 오른쪽으로 '살짝' 빗겨나가고 왼발쪽에 치우치면 볼은 컵의 오른쪽으로 흐르게 된다. 이것은 지나치게 왼쪽으로 볼 위치가 변경됨에 따라 볼을 치는 순간 볼의 윗부분을 치는 이른바 탑 볼과 함께 퍼터타면이 열리면서 볼이 오른쪽으로 밀리는 경우다.

따라서 가장 이상적인 볼 위치는 왼발의 엄지발가락 앞에 볼 위치를 설정 한 후, 양 발의 앞 꿈 치를 목표에 대하여 평행한 스탠스를 취한다. 그리고 그 상태를 유지한 채 왼발 앞 꿈치만 약간 열어 오픈스탠스(open stance)로 한 후, 스트로크를 해보면 그 구름이 설정한 목표를 향해 볼이 매끄럽게 구르게 된다.

골프의 기본타수인 파(par)72의 절반인 36타는 매 홀에 2펏(putt)을 기준 한 것이다. 따라서 핸디캡을 줄이고 싶다면 전체 점수의 50%가 퍼팅이라는 사실을 염두에 두고 연습하면 그 대가는 보상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c) ThePAR.com, 허가없이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